“시간여행은 불가능해”과학적 입증 주장하는데 “시간여행은 불가능해” …과학적 입증 주장하는데... 단일광자가 빛의 속도를 능가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영화 속에 등장하는 타임머신은 허구의 장치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10여년 전부터 시간여행에 대한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여 일부 과학자들은 특수한 매질에서 빛.. 참소리 쓴소리 2011.07.26
물에 뛰어든 생존자 쫓아가 총질까지 하는 인간사냥 물에 뛰어든 생존자 쫓아가 총질까지 하는 인간사냥... 마지막 세상은 이런것인가? 이렇게 혼자 많은 사람을 사살 할수가 있을까? 아무리 막가파라는 생각을 갖고있다고 하여도... 앞으로의 세상을 보는 느낌입니다. 호국인촌 그분께서는 앞으로의 세상을 말씀을 하여 주시던 생각이납니다. 우리는 지.. 참소리 쓴소리 2011.07.25
외계인소행?.거대 얼음덩어리, 체코서발견 외계인 소행?…거대 얼음덩어리, 체코서 발견... 체코에서 정체 불명의 거대 얼음 덩어리가 발견되어 관심을 끌고 있는것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이그재미너는 이날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올라온 정체불명의 얼음 덩어리를 소개하였다. 보도에 따르면 이 이상한 얼음 덩어리는 체코 밀로비체.. 참소리 쓴소리 2011.07.24
초속 600km로 ‘죽음의 무도’ 벌이는 쌍성 발견 초속 600km로 ‘죽음의 무도’ 벌이는 쌍성 발견... 지구에서 3000광년이나 떨어진 우주 공간에 '죽음의 무도'를 벌이는 두 늙은 별이 발견되었다. 백색왜성으로 알려진 이 두 별은 초속 595km라는 엄청난 속도로 서로 나선을 그리며 끌어당기고 있어 90만년 뒤에는 서로 융합할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그런.. 참소리 쓴소리 2011.07.23
‘왜소행성’ 명왕성에 4번째 ‘달’ 발견 ‘왜소행성’ 명왕성에 4번째 ‘달’ 발견... '태양계 9번째 행성'의 지위를 박탈, 퇴출당해 왜소행성으로 전락한 명왕성(Pluto)에서 네번째 위성이 발견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것이다. 미국 우주항공국(NASA)은 20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하여 "허블 우주망원경에 명왕성 궤도를 도는 네번째 위성이 발.. 참소리 쓴소리 2011.07.22
칠레 남부에 2m 폭설...곳곳 고립 칠레 남부에 2m 폭설...곳곳 고립... 칠레 남부 아라우카시아 지역에 2m 가까운 폭설이 내려 전기 공급이 중단되고 도로가 끊기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폭설로 안데스 산맥을 거쳐 아르헨티나와 칠레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운행이 일시 중단되었으며, 전력이 끊겨 주민 만 5천여 .. 참소리 쓴소리 2011.07.21
'70억 인구시대' 맞는 지구촌, "6번째 대멸종기 맞나" '70억 인구시대' 맞는 지구촌, "6번째 대멸종기 맞나" 우려를 하고있다... 예전에 우리가 알고있는 호국인촌 그분께서는 앞으로는 식량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하시며 우리나라에서는 논밭을 줄이고 그곳에다가 건물을 짓는다고 걱정을 하셨었는데... 그분의 말씀같이 시간이 갈수록 식량난은 점점 더 .. 참소리 쓴소리 2011.07.20
대한항공 이용 자제령 강행,‘독도 도발’ 막가는 日본인 대한항공 이용 자제령 강행... ‘독도 도발’ 막가는 日본인... 참으로 신기한 나라가 우리나라가 아닌가 합니다. 우리는 독도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하였으나 아무도 생각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오로지 많은 돈을 드려 선전과 광고만을 하고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아! 그렇게하면 안돼지.' 일본사람들.. 참소리 쓴소리 2011.07.19
굶주림 고통 견디려고 허리 졸라매는 케냐 여성들 한 케냐 여성이 배고픔을 견디기 위해 밧줄로 허리를 졸라매고 있는것이다.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식량 부족사태를 겪고 있는 동아프리카의 케냐 여성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 여성처럼 배고픔으로 인한 고통을 견디고, 식량이 생길 경우 아이들에게 먼저 먹이기 위하여 밧줄로 허리를 졸라매고 있다고.. 참소리 쓴소리 2011.07.18
※ 붉은 강물을 보며 ※ 여러분들은 아무리 장마철 이라고 하지만 전국토를 붉개 물들이고 있는 강물을 보며 무슨 생각들을 하시는지요? 요즘 비가 많이 내린다 하지만 지난 세월을 돌이켜 보면 기후는 많이 바뀌어 학자들은 아열대성 기후로 바뀌었다 하여도 빗물의 양은 예나 지금이나 큰차이가 없다 생각하는데... 하늘을 .. 참소리 쓴소리 2011.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