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 이야기

서울대병원 노조 6년만에 총파업 돌입

호국영인 2013. 10. 23. 09:44

 

서울대병원 노조 6년만에 총파업 돌입

조합원 400명 참여…병원 운영 차질·환자들 불편 가중될듯
응급·중환자실 필수인력 제외…병원측 "비노조원 대체인력 투입"


 

 

서울대병원 노조가 23일 오전 5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노사는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 등의 문제 등을 놓고 이날 오전 2시부터 한시간 가량 막판 실무교섭을 벌였으나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에 최소 필수 인원만 배치한 채 조합원 350∼400여 명이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노조의 총파업은 2007년 10월 이후 6년 만이다. 이어 "파업에 들어가도 사측에 단체교섭을 계속 진행하자고 제안한 상태이며 사측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이날 오전 9시 30분 파업 돌입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고 곧바로 출정식을 할 계획이다.

응급 환자를 돌보는 필수 인력은 유지되더라도 근무 인원이 감소함에 따라 병원 운영에 일부 차질을 빚는 것은 물론 진료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환자들이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사측은 이날 오전부터 환자 식사 배달이나 수납 업무 등에 대체인력을 투입하고, 비노조원들을 중심으로 근무조를 편성해 의료 공백과 환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 10∼1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찬성률 94%(투표율 90.3%)로 파업을 가결했다.

노조는 지난 6월부터 ▲임금 인상 ▲비정규직 정규화 및 인력 충원 ▲적정 진료시간 확보 ▲선택진료비 폐지 등을 요구하며 사측과 45차례에 걸쳐 교섭을 벌였으나 좀처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그러다 병원 측이 지난 8월 경영 여건이 나빠지는 상황을 고려해 부서별로 예산을 줄이는 등의 '비상경영'을 선언하면서 노사 갈등이 더욱 심화했다. 노조는 "사측이 최근 5년간 실질적으로 수백억 원의 흑자상태인데도 경영 악화를 핑계로 인건비를 무리하게 감축하고 임금 동결을 요구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사측이 무리한 건물 증축 등 방만한 경영에 따른 회계장부상 적자 책임을 노동자와 환자들에게 떠넘기면서 실질적인 교섭을 거부한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그러나 사측은 "흑자가 수백억이라는 노조의 주장은 사실을 왜곡한 것으로 실제로 적자상태"라고 반박하며 비상경영과 임금동결이 불가피하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2007년 10월 연봉제와 팀제 도입 등 구조조정 문제에 대해 사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해 응급실 등에 최소 인원만 배치한 채 6일간 파업을 벌였다.

~~~~~~~~~~~~~~~~~~~~~~~~~~~~~~~~~~~~~~~~~~~

 

※ 요즘은 노조의 의한 파업이 항상 도사리고 있는 상태라 서로가 

    서로의 생각이 맞지 않는 결과이겠지만 조금씩 양보를 한다면

    병원의 환자들이 힘들지 않을 것인데 이렇게까지 하는 그들의

    처지를 안다고 해도 무언지 우리가 보는 눈은 섞연치가 않다.

 

    지금 사회는 살기가 어렵다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

    현실에 최고의 학부를 나와 최고의 병원인 서울대학병원에서 

    서로가 의견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 환자들을 받을 수가 없고 

    입원환자들까지 고통을 받는다면 우리가 사는 흐름이 잘 못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끝나가는 세상속에서 이렇게 다툼보다는 서로 상부상조하며 

    좀더 상대를 생각해주는 그런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