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과 창조론… 그 끝없는 싸움...
진화론을 둘러싼 과학교과서 논란이 뜨겁습니다. 안 그래도 더운 날, 뜨겁다 하려니 죄송하군요. '과학교과서에서 사라지는 진화론'<서울신문 5월 17일자 10면>이 처음 보도되더니,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에서 이를 우려한다는 보도('네이처 "한국, 창조론 요구에 항복"…우려표시'·서울신문 6월 7일자 9면)가 나왔습니다. 반격('교진추, 화학진화론도 생명기원과 무관'·서울신문 6월 15일자 11면)도 수위를 높였습니다. 이 와중에 '진화심리학'(데이비드 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펴냄)이 번역되어 나왔습니다. 진화론을, 생물학 너머 심리학에까지 적용시킨 겁니다. 진화론의 최전선쯤될까요.
진화심리학에는 두가지 비아냥이 따라다닙니다. 하나는 "헤겔 철학하냐."는 겁니다. "존재하는 것은 모두 이성적이다."라는 식의, "그럴 수 밖에 없으니까 그런다."는 식의 사후합리화 혹은 중언부언 아니냐는 겁니다. 이는 진화론이 단순한 유전자결정론처럼 오해받아 생기는 난점인데, 저자가 책 전반에 걸쳐 여러 재밌는 사례를 통해 나름대로 반박하고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대체 문화는 어떻게 설명할래?"입니다. 진화심리학이란 짝짓기, 호전적 행위처럼 신석기 시대 이후 쭉 내려온 인류 공통 분모만 설명해줄 뿐, 인간이 창출해낸 개성적인 문화를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겁니다. 간단하게 말해 진화심리학이 가르쳐주는 것이라곤 기껏 "(인류가) 아직도 그대로네!"라는 겁니다. 책을 집어들었을 때 사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나 논증을 기대했는데, 책 끝부분 13장 '통합심리학을 향해'에서 문화 현상에도 "신선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고만 해둡니다. 기대 섞인 전망 수준입니다. 아쉽습니다.
여하간 이처럼 진화론자들은 생물학을 넘어 심리학으로 진군하고 있는데, 왜 아직도 창조론과 씨름을 벌일까요. 번쩍 떠오르는 인물이 있을 겁니다. 그렇습니다. 2006년 '만들어진 신'(이한음 옮김, 김영사 펴냄)을 낸 리처드 도킨스입니다. 솔직히 의아했습니다. 뻔한 내용일 텐데 왜 600쪽에 육박하는 책을 썼을까 싶었습니다. 도킨스는 이미 '눈먼 시계공'(이용철 옮김, 사이언스북스 펴냄)으로 창조론을 비판한 바 있었습니다. 그것도 1986년에 말입니다. 복잡하고 정교한 시계에는 시계공이 있듯, 더 복잡한 우주 만물이 존재하기 위해서는 창조주가 있다는 게 시계공 논리입니다. 창조론을 옹호하는 대표적 논리로 꼽히지만, 정작 종교계는 그리 탐탁지 않게 여깁니다. 이성적으로, 논리적으로, 과학적으로 설명되어버린다면 그걸 신이라 부를 수 있을까요. 신이라는 게 있다면, 그것은 이성, 논리, 과학을 뛰어넘는 어떤 도약이 아닐까요.
그래서 신을 시계공에다 비유하는 것은 결국 신의 자리를 이성에게 양보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알랭 드 보통의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박중서 옮김, 청미래 펴냄)가 대표적입니다. 보통은 이성을 신으로 모시자고 제안합니다. 무신론자의 성전을 만들자는 거지요. 영국 런던에다 짓겠다 해서 화제가 된 적도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책을 읽을 때 이성의 신에만 주목하지 말고, 이래서 종교계가 시계공 논리를 싫어하겠구나 하면서 읽으면 좋을 듯합니다. 어쨌든, 도킨스의 반박은 멋진 구석이 있습니다. 시계공 앞에다가 '눈 먼'(Blind)이라는 수식어 하나 붙이는 걸로 끝내 버렸으니까요. 그래 너희 말대로 이 우주에 시계공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아마 눈이 멀었을 것이다, 라고 응수한 거지요. 그런데 왜 20년 뒤 '만들어진 신'을 또 내야 했을까요. 그것도 멋진 응수가 아니라 직설적으로 - 원제가 'The God Delusion'입니다. 단순히 만들어졌다가 아니라 '망상'이라는 거죠. - 비판해야만 했을까요.
그래서 '만들어진 신'에서 흥미롭게 읽히는 대목은 도킨스의 '논증'보다 '연민'입니다. 여러 얘기가 있지만 한가지만 꼽자면, 세계적 학자 밑에서 지질학과 고생물학 두 개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전도유망한 젊은 과학자가 지구 나이는 1만년에 불과하다는 근본주의 기독교의 창조론 때문에 학업을 포기했답니다. 우리에게도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요. 진화론 없는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들이 나중에 자연과학자가 되었을 때 "신앙과 배치되는 연구를 할 수 없다."며 연구실을 박차고 나가는 사건이 벌어질까요. '눈먼 시계공' 이후 '만들어진 신'을 낼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세를 크게 불린 기독교 원리주의에 대한 과학자로서의 위기감 때문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당시가 기독교 원리주의 부시 정권 집권기였다는 점도 감안해야 할 듯합니다.
이쯤에서 고개를 다른 곳으로 돌려봅시다. 테리 이글턴의 '신을 옹호하다'(강주헌 옮김, 모멘토 펴냄)입니다. 맞습니다. 이 사람, 종교를 아편 취급하는 마르크스주의자입니다. 그런데 스스로는 독실한 천주교 신자입니다. 도킨스, 그리고 좌파 무신론자 크리스토퍼 히친스를 '도친스'라 합쳐부르면서 강하게 비판합니다. 타깃은 주로 히친스 쪽입니다만. 그 맥락을 자세히 얘기하기엔 그렇고, 이 사람 한국에 왔을 때 한마디 남깁니다. "이미 오래전 토마스 아퀴나스는 창조론을 틀렸다고 했다. 과학이 뭐라 하건 말건, 신학 입장에서 우주의 기원 따윈 없다는 것이다." 놀랍지 않습니까. 중세 신학의 거장 아퀴나스가 이미 창조론 따윈 틀렸다 말했다니! 진화론과 무관하게 원래 신학의 창조론은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방식의 창조론이 아니라는 겁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 무신론도 일종의 신념체계라는 점에서 종교적이라 지적하면서, 종교 문제를 회피한 채 공리주의로 퇴각해버린 무신론보다 차라리 제대로 된 유신론이 훨씬 낫다는 입장에 섭니다. 이 주장은 한국에서 거의 연예인급 대접을 받는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이창신 옮김, 김영사 펴냄)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10강 '정의와 공동선' 가운데 '중립을 지키려는 열망' 부분입니다. 한번 비교해서 음미해볼 만합니다.
마지막으로 결정적인 한 권이 있습니다. 800쪽이 넘어갈 정도니 좀 두껍긴 한데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김용규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입니다. 고백하자면, 서양문명 통사쯤으로 생각하고 집었습니다. 신학 논쟁만 빼곡하더군요. 그래서 처음엔 돈 아까워서 꾸역꾸역 읽었는데, 책을 덮은 뒤에는 저의 착각이 무척 고마워졌던 책입니다. 3부에서 창조론과 진화론의 양립주의, 그러니까 둘은 모순되지 않는다고 논증합니다. "열렬한 유신론자이면서 진화론자일 수 있다."는 다윈의 말과 "신의 섭리가 효력을 지속시키더라도 많은 것은 우연적이다."라는 아퀴나스의 말에 주목합니다. 저자는 이 두 부분을 정교하게 결합시키는데 너무 길어지니까 여기선 짧게 일부만 인용하지요.
"아퀴나스와 다윈이 600년이라는 세월을 건너뛰어 만나 이구동성으로 '만물은 우연에 의해 자발적으로 진화하지요.'라고 말한다 해도, 하나는 '피조물에 자유를 허락한 신의 사랑'에 대해 말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환경에 적응해나가는 진화의 맹목적성'에 대해 말하는 겁니다. 그들은 서로 다른 '언어 놀이'를 하고 있다는 얘기에요." 고상하게 말하자면 신과 인간 사이에는 심대한 질적 차이가 있다는 것이고, 수준 낮게 말해서 과학과 신학은 노는 물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이러고 보니 창조론과 진화론 싸움은 어째 허깨비 싸움 같아지는군요.
~~~~~~~~~~~~~~~~~~~~~~~~~~~~~~~~~~~~~~~~~~~~~~~~~~~~~~~~~~~
※ "신" ! ? "신" 이란 ?
뜻글인 한자의 뜻을 빌리거나 하여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신" 이란 표현은 무의미하다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신"이란 표현을 접할때
대중 심리 현상에 의하여 왜 ? 라는 의문의 궁금한 점을
이해하기에 앞서 남들이 모든 사람들이 믿으니
나도 하는 식의 무작정 휩쓸림현상에 의하여 내가 왜? 라는
자신의 의식 조차 없고 목적도 없이 따라서 주위 사람들이 믿으니까.
나자신이 흔히말하는 왕따 비슷한 따돌림을 받지 않을까. 하여
종교를 선택하는 의지와 다른 선택을 할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 "신"이란 무엇인가를 깊이 생각하고 과연
"신"이란 존제 하는가?
그리고 능력의 힘과 영향력과 우리와의 관계는 어떻게 관계되는가?
이 모든것을 먼저 알아야...
"신"을믿든 종교를 선택하든 하여야 할것이다.
그럼 "신"이란 단어는 누구에의한 어떻게 왜 만들어 졌을까?
그리고 목적이 무엇 때문인가...
우리는 왜 모든것을 바쳐가며 그토록 집착하나.
그 "신"의 존재와 능력과 영향력을 우리는 생각하고 연구하여
참다운 "신"의 존제를 알아볼 마음과
그뜻을 받들고 따라야 할것이 아닌가?...
우리가 말하는 "신"이란?
인간들 만을 위하여 존제하는 "신"은아니며
더욱이 인간의 개인 소원을 들어주며 욕심과 바램을 해결 하여주는
그런 역활을 하여주는 것이 "신"의 역활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할것이며 절대적 "신" 이란
어느 종교집단 세력과 우리 인간만의 "신"이 아니라
우주 전체에 해당하는 모든 만물에 태양이 모든곳에 빛을주어
활기를 주듯 동물.식물 가릴것 없이 어느 생명체나 종교나 또는
모두를 똑같은 혜택을 주는 그런 우리가 생각치 못한
그런 존재가 참다운 "신" "신.이 아닌가?...
"신"이란 누구를 위하여 존제 하는것이 아니고
모든 생물 "혼" 즉 정신속에 미리 자리잡고
탄생과 더불어 함께하는 식물이 씨앗이 싹을 튀울때 빛이 쬐어
싹틈의 온도를 맟추고 영향력을 행사하여 생명을 잉태 시키듯
"신"이란 어느 한곳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온 우주 만물을 감싸안고 아우르는 그련 엄청난 "품" 을 가진
절대적인 존재라 할수있을 것이며...
그뜻을 이해 하기란 ?
우리 인간의 능력으론 어려울것이라 생각하며
우리 생각 즉 "혼" 은 깊이 들어가 보면
"신" 이란 모든 생명체의 근원을 이루는
즉 "절대자 창조주" 란 것을 생각 하리라 하는바입니다.
그러므로 "신" 은 논리를 벗어나
우주에 모든 생명체의 핵심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