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 5개 키워드로 본 ‘올해의 과학’...
스티븐 호킹 "천국은 동화다"
과학자가 '연구'가 아닌 '발언'으로 주목받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가끔은 누구의 말이냐에 따라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오기도 한다.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케임브리지대 명예교수는 지난 5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인류의 오랜 믿음에 배치되는 발언을 했다. "사후 세계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는 믿음은 죽음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낸 동화일 뿐"이라고 말이다. 호킹 교수가 '무신론'을 주장한 것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지난해 저서 '위대한 설계'에서 "신이 우주를 창조하지 않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올해는 강도가 훨씬 높아졌다. 호킹 교수는 "마지막 순간 뇌가 깜빡거림을 멈추고 나면, 그 이후엔 아무것도 없다."면서 "뇌는 부속품이 고장나면 멈추는 컴퓨터이며, 고장난 컴퓨터를 위해 마련된 천국이나 사후세계는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디에서 왔을까. 호킹 교수는 '과학'이라고 선언했다. "과학은 우주가 무에서 창조됐다는 것을 설명하며, 우주는 과학에 의해 지배받는다."는 것이 인생의 황혼에 접어든 노과학자의 결론이다.
※ 사후세계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중 한사람.
과학은 사람이 만든것이고.무에서 유을 창조하는것도 사람
대대 손손 내려오는 조상들을 생각해보면 답은 나오지 않을까요..
시작이 있으면 끝이있고.
만들어진것은 부셔지고
태어나면 죽음이 있다는 이원칙은 변함이 없읍니다.
만들어지는 과학도 중요하지만
자연에게 맡겨야 진짜 과학이 되는것이 아닐까요...
2. 올해의 사건
후쿠시마 방사능 유출 공포
3월 동일본 대지진이 쓰나미로 이어졌을 때 모두들 범람하는 바다와 쓸려가는 집에만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곧이어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자연과 과학이 합작한 최악의 사고로 역사에 기록될 전망이다. 지진으로 인한 발전소 설비의 손실과 비상 전원의 단절은 냉각시스템을 마비시켰고, 이는 노심 융해와 방사능 유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 원전 주변 20㎞는 죽음의 땅으로 변했고, 일본 전역은 아직까지 방사능 유출의 공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대기로 누출된 방사성물질의 양은 37경 베크렐 이상으로 추산되며, 이는 원전 사고 최고등급인 7등급에 해당한다. 사고 당시와 이후 수습과정을 통틀어 최소한 840명의 원전 관계자들이 공식적으로 실종 상태다.
※ 만들어낸 과학이니까. 무너진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자연의 과학으로 이루어진것이라면 이렇게 큰 희생은 없을 것이다.
자연을 무시하는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남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올해의 실험
아직끝나지 않은 '힉스 찾기'
11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주요 언론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힉스'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우주 탄생의 기원을 찾겠다는 과학자들의 오랜 꿈이 마침내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는 기대감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확산됐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 투입된 예산은 100억 달러. '인류 역사상 최대의 과학실험'이라는 호칭에 걸맞은 관심이었다. CERN은 지난 13일 공개세미나와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모두의 궁금증에 답했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입자들에 '질량'을 부여한 '신의 입자' 힉스는 결국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다만 '가능성'이라는 말이 그 자리를 채웠다. CERN은 125기가전자볼트(Gev) 영역에서 힉스 입자가 존재한다는 결과가 일부 나왔지만 확신까지는 좀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확률은 99.5~99.7% 수준. CERN는 내년 실험이 진행되면 가능성이 99.99994%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연구하고 만들때는 부셔지는 과정을 먼저 알고
답을 정하여야 될것 같읍니다.
시작과 끝 바로 고리라는것을 생각하면은 잘 정리 될것입니다
4. 올해의 논란
아인슈타인의 진리는 틀렸나
과학사에 2011년이 기록된다면, '물리학의 신'으로 추앙받는 아인슈타인에 대한 도전의 원년으로 쓰여질 가능성이 높다. CERN은 지난 9월 "빛보다 빠른 소립자, '중성미자'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그럴 수도 있지."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은 물리학의 기본을 모르는 것이 확실하다.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이후, 빛보다 빠른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절대적인 진리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우주의 모양이 지금까지의 생각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PERA로 불리는 실험에서 물리학자들은 CERN의 입자가속기에서 나온 중성미자의 빔을 땅속을 통해 730㎞ 떨어진 그란사소 실험실로 쏘는 작업을 1만 6000번 반복했다. 그 결과 중성미자가 빛보다 60나노초 빠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실험 당사자들조차 믿지 못한 결과에 대한 논란은 진행형이다. CERN은 물론 미 페르미연구소도 검증 실험을 진행 중이다.
※ 지금은 세상을,지구을,우주을,지키는 문제가 더 큰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5. 올해의 해프닝
영전에 바친 노벨상
매년 10월이면 전 세계인의 주목을 끄는 스웨덴 노벨위원회 구성원들은 아마 올해 과학계에서 가장 당혹스러운 경험을 한 사람들로 뽑혀도 불만이 없을 것 같다. 노벨위원회는 올해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랠프 스타인먼 미 록펠러대 교수를 선정했다. 하지만 불과 몇 시간 후 록펠러대는 스타인먼 교수가 췌장암으로 며칠 전에 숨졌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1974년 노벨위원회는 이전까지 관례적으로만 내려오던 '생존 인물만 수상자로 뽑는다.'는 규정을 공식화했다. 스스로 정한 규정을 어긴 셈이다. 결국 위원회는 "그가 수상의 기쁨을 누리지 못해 애석할 뿐, 선택을 바꾸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올해 유독 갈팡질팡했다. 올해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솔 펄머터 캘리포니아버클리대 교수는 수상소식을 스웨덴의 기자에게 전해들었다. 두 사건 모두 업적을 평가하는 데 지나치게 골몰한 때문인지, 수상자들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조차 지키지 않은 노벨위원회의 거만이 만들어 낸 해프닝으로 한동안 회자될 전망이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 진짜 상 받를 사람을 찾아낼수있는 사람...
판단 할수있는 사람...
그 사람은 바로 "신"일것입니다...
'진 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5천마리 새 떼죽음,2012년 종말 징조? (0) | 2012.01.03 |
---|---|
유튜브로 희망 전하고 하늘로 간 美 10대 (0) | 2011.12.31 |
"오, 와우!"…지구촌을 울린 올해의 한 마디 (0) | 2011.12.29 |
깨지고 터지고... 4대강 '괴물댐'의 비명 (0) | 2011.12.27 |
재앙에 떨고있는 지구촌 흐름 (0) | 201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