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소개방

김구 암살범 안두희 처단 '정의봉' 자세히 보니.."혈흔이 선명"[사진in세상]

호국영인 2018. 10. 24. 19:44

김구 암살범 안두희 처단

'정의봉' 자세히 보니.."혈흔이 선명"[사진in세상]

 

       

박기서씨, 정의봉 기증식 안팎

2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 양복을 입은 택시기사 박기서씨가 백범 김구 암살범 안두희를 처단했던 이른바 '정의봉'을 기증했다.

박씨가 40㎝ 길이의 몽둥이를 감싼 흰 종이를 벗겨내자 이번에는 더 낡은 종이가 정의봉을 덮고 있었다. 종이에는 검은 붓글씨로 8자의 한자가 적혀 있다. '견리사의 견위수명'(見利思義 見危授命·이로운 것을 보았을 때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당했을 때는 목숨을 바쳐라)’.

안중근 의사를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꼽는 박씨는 어렸을 때부터 배워온 솜씨로 직접 글씨를 써넣었다고 한다.

그는 이 종이로 정의봉을 감싼 채 안두희를 찾아가 종이를 벗겨낸 뒤 실행에 옮겼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종이 한쪽에는 작은 글씨로 '증 4호'라는 글씨가 새겨졌다. 박씨가 안두희를 살해한 혐의로 조사를 받을 때 검찰이 쓴 글씨다.

백범 김구 암살범 안두희 전 육군 소위를 살해한 박기서씨가 24일 서울 용산구 식민지역사박물관에서 안두희를 처단하는 데 쓴 '정의봉'을 기증했다. 박씨는 이날 정의봉을 감싸 보관한 자신이 직접 쓴 안중근 의사의 유묵 한지도 함께 기증했다.
홍두깨 모양의 정의봉에는 한글로 '정의봉'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정성스레 보관해 글씨가 선명했다. 희미하지만 안두희의 혈흔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 상태가 좋다.

안두희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1년이 채 되지 않은 1949년 6월 26일 지금의 강북삼성병원 자리인 서울 서대문 경교장에서 권총을 쏴 김구 선생을 살해했다. 안두희는 1996년 10월 23일 인천 중구 신흥동 자택에서 박씨가 휘두른 정의봉에 맞아 숨졌다. 박씨는 사건 발생 7시간 만에 자수하고 “백범 선생을 존경했기에 안두희를 죽였다. 어려운 일이었지만 당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