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 이야기

왜 '13일의 금요일' 선택했나

호국영인 2015. 11. 16. 04:58

왜 '13일의 금요일' 선택했나

 

3년전 11월13일 시리아반군 정부 승인에 불만…기후변화총회 방해 의도도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를 강타한 동시 다발 테러는 서구 문화에서 불길한 날로 여기는 '13일의 금요일'에 터졌다. 서양에는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이 금요일이고, 전날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사람이 13명이었다는 이유로 이 두 개가 합쳐진 '13일의 금요일'을 가장 불길한 날로 여기는 미신이 있어 여기서 출발한 '13일의 금요일 공포증'(paraskevidekatriaphobia)이라는 단어까지 만들어졌고, 1980년 이후 '13일의 금요일'을 제목으로 한 공포 영화 시리즈가 꾸준히 만들어졌다.

 

 

 

 

 

 

 

 

이번 테러를 자신의 소행이라고 주장한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는 '13일의 금요일'에 맞춰 주말 휴일을 앞두고 많은 약속과 함께 긴장이 풀어진 금요일 밤을 노렸다. 유럽의 한복판인 파리 도심에서 '13일의 금요일'에 맞춘 동시다발 테러로 서구국가 국민의 공포감을 극대화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올해 들어 '13일의 금요일'은 2월과 3월, 그리고 11월 3번뿐이지만 무엇보다 IS는 '거사일'로 정한 11월 13일에 또 다른 정치적 의미를 두려 했다는 분석이 나왔고 3년 전인 2012년 11월 13일은 프랑스가 IS와 적대 관계인 시리아 반군 계열의 반정부조직 시리아국민연합(SNC)을 시리아의 합법 정부로 인정한 날이었다.

 

장진링(張金嶺) 중국 사회과학원 유럽연구소 부연구원은 당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이 서방국가 중 처음으로 SNC를 시리아를 대표하는 과도 정부로 공식 인정한 것과 이번 테러 날짜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관측했으며 장 부연구원은 15일 홍콩 봉황망과 인터뷰에서 IS가 프랑스의 시리아 반군 지원 정책과 이라크 등 중동 개입 정책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11월 13일을 '테러 거사일'로 정했을 것이라고 추정했으며 아울러 이번 공격은 이달 30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막할 예정인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프랑스는 195개국이 참여하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협약을 체결토록 하기 위해 올랑드 대통령의 사전 중국 방문 등 외교활동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IS는 이번 테러 공격으로 거대 국제행사를 앞둔 프랑스의 안보 역량과 테러 경비태세에 대한 의문이 일도록 하는 효과를 낳았고 올랑드 대통령은 15일 터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취소했고 프랑스 정부는 이번 파리 테러에도 기후변화협약 총회를 열기로 했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예정대로 총회에 참석하겠다고 밝히는 등 총회 일정에 별다른 변화는 없는 상태며 장 부연구원은 그러나 "이번 총회에 예정대로 195개국의 공식 대표단이 모두 참석할 수 있을지, 프랑스가 이번 총회에서 새로운 성과를 끌어낼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 됐다" 그는 이번 테러로 프랑스가 비(非) 전통적 방식의 안보위협에 대처하는 역량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테러를 계기로 프랑스 내 민족주의 및 우경화 추세가 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

※ 우리가 어렸을 때라면 미신을 믿는다고 하지만 지금은 귀신이

    있다가도 모두 도망을 갈 정도로 문화가 발전하였는데 누가

    13일의 금요일을 불길한 날로 여기는 미신을 믿고 있는지...

    IS는 13일의 금요일을 거사날로 정하여 테러를 자행하였다는

    것 자체가 사람들에게 공포를 조성하고자함이 아닌가한다.

    우리가 공포자체를 믿지 않는다면 IS그들도 테러자체를 금요일

    이라는 날로 자행 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세계 국가의 대표들이 기후변화협약총회를 하려는 것을 막으

    려는 의도라면 IS자체도 앞으로 세상을 망가뜨리는데 커다란

    일조를 하는 것이며 세계의 모든 나라가 합심하여 IS를 가만 

    두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되며 마지막의 세상을 좀더 빠르게 

    닥치는 결과를 만드는 것이 아닐까한다.. 

 

    우리는 이렇게 무서운 생지옥에서 벗어나도록 서로가 합심하여

    자연으로 되돌리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것만이 우리가 사는 방법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