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소개방

바다 쓰레기 치우는 '1600억짜리 통영함'

호국영인 2015. 9. 16. 07:43

바다 쓰레기 치우는 '1600억짜리 통영함'

5월 실전배치뒤 운용현황 보니
어망·폐기물 수거에 주로 투입

해군의 신형 구조함인 통영함이 올해 5월 실전에 배치된 뒤 해양 폐기물 수거나 어망 제거 등 구조와는 동떨어진 대민 지원 업무에 주로 투입돼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진성준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해군본부로부터 제출받아 15일 공개한 '통영함 인수 이후 운용현황'을 보면, 통영함은 지난 5월 실전 배치된 뒤 6~7월 상륙훈련에 참가하면서 '안면도 침체어망 수거' 일을 병행했고, 7~8월에는 '연평도 주변 어장 해저 폐기물 수거' 업무에 투입됐다. 실전 배치된 뒤 절반 가까운 기간 동안 대민지원 업무를 수행해온 셈이다. 지난해 12월30일 해군에 인도된 뒤 4개월 넘게 전력화·보증수리 과정을 거친 통영함은 이밖에 5월 독도 근해 수중불발탄 제거 지원, 6월 잠수함 시운전 지원 업무 등을 수행했다.

진성준 의원은 "대민지원 업무 자체는 칭찬받을 일이지만, 부실 논란의 원인이 된 음파탐지기를 제외하고 해군에 인수돼 본격적인 작전이나 구조훈련보다 어망·폐기물 수거에나 투입되고 있어 무척 안타깝다"고 말했다.

통영함은 해상에서 좌초하거나 고장이 나 움직이지 못하는 함정을 구조·예인하거나 침몰된 함정을 탐색·인양하는 것을 주임무로 하는 구조 전문 함정으로 2010년 이후 정부가 예산 1600억여원을 들여 건조했다. 하지만 부실한 음파탐지기 때문에 해군 인수가 늦춰졌고, 지난해 세월호 사건 때도 아무런 구실을 하지 못하는 바람에 '방위사업 비리'의 상징처럼 돼버렸다.

통영함 문제를 계기로 정부는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을 꾸리고 대대적인 수사에 나섰다. 통영함 음파탐지기 도입 과정에서 특정 업체의 편의를 봐주려고 부당한 지시를 내린 혐의(허위공문서 작성·행사 등)가 드러나면서 황기철·정옥근 전 해군참모총장이 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자유 소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에서 본 수확 현장  (0) 2015.09.30
하얀 솜 품은 목화  (0) 2015.09.18
풍요로운 해바라기  (0) 2015.09.04
목숨 건진 439명의 난민들  (0) 2015.08.28
누가 더 센가, 남북 포 화력 비교KBS   (0) 2015.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