뻘밭으로 변한 안면도 꽃지해변
서해안 최고의 저녁놀로 알려진 충남 태안군의 대표 관광지인 안면도 꽃지해변이 엉터리 복원사업으로 심각하게 망가지고 있다.
공사 발주처인 대산지방해양수산청(대산항만청)은 올해 안면도 꽃지해변에 대한 연안침식복원사업을 진행중이다.
안면도주민들은 꽃지 해변의 복원 사업은 이곳의 식생과 비슷한 안면도 지역의 쌓여가는 항ㆍ포구의 모래로 복원해야한다고 주장해 왔다.
주민들은 거듭 꽃지해변의 환경과 식생을 고려하지 않은 참사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오마이뉴스 신문웅 기자]
공사 발주처인 대산지방해양수산청(대산항만청)은 올해 안면도 꽃지해변에 대한 연안침식복원사업을 진행중이다. 16일 현재 공정율은 약 50%. 하지만 연안침식복원사업이 현지 식생과는 거리가 먼 경기 평택항 해상의 바닷모래를 사용하면서 뻘밭으로 변해가고 있다.
안면도주민들은 꽃지 해변의 복원 사업은 이곳의 식생과 비슷한 안면도 지역의 쌓여가는 항ㆍ포구의 모래로 복원해야한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대산항망청은 모래입자가 작다는 이유로 침식복권사업에 경기도 평택항 인근의 모래를 사용하고 있다.
진행 과정은 심각하다. 이날 확인한 현장 모습을 살펴보면 우선 사업지인 피서객들의 발길이 적은 병술만 지역에서 오션캐슬앞 구간은 모래해변이 아닌 뻘밭으로 변했다. 주민들은 거듭 꽃지해변의 환경과 식생을 고려하지 않은 참사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핵심 사업인 갯방풍, 해당화 등 5종류의 해안사구 식물을 복원하기 위한 시범포 조성도 기존 꽃지해변의 모래와 전혀 다른 모래가 반입되면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꽃지해수욕장은 백사장과 할미바위, 할아비바위가 잘 어우러진데다 붉게 물드는 낙조와 백사장을 따라 핀 해당화로 '꽃지'로 불리고 있다.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 곳을 연말 해넘이 명소로 선정,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몰리고 있다.
▶ 해당 기사는 모바일 앱 모이(moi) 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모이(moi)란? 일상의 이야기를 쉽게 기사화 할 수 있는 SNS 입니다.
▶ 더 많은 모이 보러가기
'자유 소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번 낙방, 10년 도전끝 합격..소년범 왜 경찰 되려 했나 (0) | 2018.08.19 |
---|---|
"가을 날씨 같네" 안심하긴 일러..폭염·열대야 또 온다 (0) | 2018.08.18 |
오키나와에서 찾은 이름, '명촌장모'와 '금산만두' (0) | 2018.08.16 |
여전히 떠돈다. 괴벨스 망령 (0) | 2018.08.15 |
[스크랩] 행복을 나누는 시간표 (0) | 2018.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