벙커 새로 구축한 北 초소...
개풍군의 작은 변화들
북한의 대남 최전방 군 초소에서 최근 구축된 벙커가 관측됐다.
25일 경기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촬영한 황해북도 개풍군의 한 북한군 초소 사진에서 망루 동편(노란색 원)에 새롭게 구축된 벙커 시설이 확인됐다.
조용하던 초소에서 분주한 움직임이 포착된 것은 지난 9월 15일, 북한군병사 10여 명이 망루 주변에서 물건을 나르거나 위장막 뒤편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했다.
과거 사진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보니 군 초소 외에 개풍군 임한리와 삼달리 마을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다.
북한의 대남 최전방 군 초소에서 최근 구축된 벙커가 관측됐다. 25일 경기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촬영한 황해북도 개풍군의 한 북한군 초소 사진에서 망루 동편(노란색 원)에 새롭게 구축된 벙커 시설이 확인됐다. 중앙에 난 작은 관측창과 벙커 출입구 등에 걸쳐진 위장용 그물망도 보인다.
조용하던 초소에서 분주한 움직임이 포착된 것은 지난 9월 15일, 북한군병사 10여 명이 망루 주변에서 물건을 나르거나 위장막 뒤편에서 휴식을 취하기도 했다. 그로부터 한달 여 뒤 새로운 벙커 시설이 완성됐다.
비록 작은 변화이긴 하나 과거 10여 년 이상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던 초소에 경계 및 방어를 위한 벙커가 구축된 것이 최근 고조된 한반도 긴장 상태와 관련이 있는지 주목된다. 일본 아사히 신문은 얼마 전 북한 당국이 군과 비밀 경찰에 실탄을 지급하는 등‘준 전시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과거 사진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해 보니 군 초소 외에 개풍군 임한리와 삼달리 마을에서도 일부 변화가 있었다.촬영 장비의 발달로 과거 흐릿했 던 장면이 뚜렷하게 관측되기도 했다.시간이 멈춘 듯 평온해 보이는 북한 농촌 마을의 작은 변화들을 정리했다.
#1 피폐해져 가는 주민의 삶
북한 지도부가 핵 개발에 몰두하는 사이 주민의 삶은 더욱 피폐해지고 있다.초망원렌즈를 통해 촬영한 농가의 모습에서도 이러한 현실을 읽을 수 있다.2012년9월25일 비교적 깨끗했던 농가 지붕이 5년 후인2017년 9월15일 사진에선 우거진 수풀과 넝쿨로 온통 뒤덮여 있다. 생활고와 식량난 속에서 주거환경을 정돈할 겨를이 없는 북한 주민의 삶이 엿보인다.
추수철 지붕마다 볏짚과 옥수수대가 빼곡히 널려 있는 모습은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다.공급이 부족한 전기나 석유 대신 겨울철 난방과 취사용으로 쓰기 위해서다.산업연구원이 지난3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 농촌 주민 대부분이 석유와 전기 대신 볏짚과 옥수수대,풀대를 취사 및 난방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2공동 건물은 신축
개인 주거환경이 갈수록 황폐해지는데 반해 회당 등 공동 시설은 관리와 신축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5년10월엔 보이지 않던 회당 건물이2년 후인 올해9월 사진에 등장하고 공동 작업용 건물 역시 그 기간 헐고 옮겨 지었다.당 구호가 내걸린 건물 외벽도 파란색으로 깨끗하게 칠이 되어 곧 허물어질 듯한 민가주택과 대조를 보인다.
#3수수께끼 같은 ‘층 낮추기’
2006년4층이던 임한리 탈곡장 뒤편 공동 주택 건물들이5년 후2층으로 내려 앉았다.그로부터6년이 지난 올해9월엔1층 건물 여러 채가 헐려 있다.건물 일부를 헐어 층을 낮추는 경우는 국내에선 좀처럼 보기 드물다. 동,서쪽 하늘을 향하던 공동 주택의 지붕 경사면이 남쪽 방향으로 바뀌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추수철 볏짚 말리기 또는 난방과 관련이 있어 보이나 정확한 이유는 파악할 수 없었다. 남한에서 불과 3~4㎞ 떨어진 북한 선전용 마을의 스카이라인 변천사가 수수께끼처럼 아리송하다.
#4무너진 대전차 방호벽
해상도 높은 촬영장비의 발달 덕분에 마을 곳곳을 과거에 비해 보다 뚜렷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됐다. 농가 지붕 등에서 소형 태양광 패널이 관측되거나 군 초소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도 새롭게 눈에 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활용을 독려하며 전력난 극복을 주민들에게 떠넘기고 있는 북한 내 분위기를 알 수 있다(관련기사:전력마저 자급자족… 北 접경마을서 태양광 패널 관측)(http://www.hankookilbo.com/v/80bb89c3a27f4b1c837d0fae539dcf2a).
개풍군 삼달리와 임한리는 북한의 최전방 마을로 대전차 방호벽이 곳곳에 설치돼 있다.대전차 방호벽은 도로변에 설치해 놓고 유사시 폭파하면 대형 콘크리트 덩어리가 무너지면서 전차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13일 촬영된 사진을 보면 삼달리 도로 양 옆에 설치된 대전차 방호벽 중 콘크리트 덩어리3~4개가 사라지고 없다. 9월15일 사진에서도 임한리 김일성 사적관 앞 길에서 콘크리트 덩어리가 무너져 뒹구는 모습이 보인다.
김주영기자 will@hankookilbo.com(mailto:will@hankookilbo.com)
박서강기자 pindropper@hankookilbo.com(mailto:pindropper@hankookilbo.com)
'지구촌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998개 ! 우주 쓰레기의 역습..톈궁1호 서울에 떨어지는 날엔 (0) | 2017.11.03 |
---|---|
작은 별 주위 도는 목성만한 거대 행성 발견 (0) | 2017.11.01 |
별이 충돌했다.. 金나왔다, 뚝딱 (0) | 2017.10.28 |
"우주 속 인간의 존재는?" 교황 질문에 우주인의 대답은.. (0) | 2017.10.28 |
카리브해 해양보호지역의 재앙..'플라스틱 쓰레기 바다' (0) | 2017.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