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소개방

하늘이 뻥.. 별들이 다 어디 간 거야?

호국영인 2015. 1. 9. 18:56

[아하 우주] 하늘이 뻥.. 별들이 다 어디 간 거야?

 

-놀라운 LDN 483 암흑성운 이미지 발표

마치 하늘이 뻥 뚫린 것처럼 보이는 놀라운 이미지가 8일(현지시간) 우주 전문 사이트인 스페이스닷컴에 공개되었다.

얼른 보면 별들이 모두 사라져버린 것 같다. 그러나 사실은 두터운 우주 먼지로 이루어진 '암흑성운'이 별들의 분만실에서 갓 태어난 별빛을 가리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문제의 성운은 린드 암흑성운 483, 또는 LDN 483으로 불리는 암흑성운으로, 지구에서 700광년 떨어진 용자리에 있다. 위의 사진은 칠레의 라 실라 유럽남방천문대의 MPG/ESO 2.2m 망원경으로 찍었다.

↑ 위 사진의 암흑 영역이 바로 LDN 483 (Lynds Dark Nebula 483)으로 불리는 암흑성운이다. 별들이 태어나는 분만실이기도 하다.

LDN 483 안에 있는 분자 구름은 너무나 두터워 뒤쪽의 별빛을 완벽히 차단하는 바람에 마치 그 부분의 하늘이 뻥 뚫린 듯이 보이는 것이다.

↑ LDN 483 암흑성운은 지구로부터 700광년 떨어진 용자리에 있다.



"이 암흑성운 내 별의 탄생을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은 성운 내에서 태어난 어린 별들의 빛이 모두 분자 구름 속에 묻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라고 ESO의 과학자가 발표문에서 밝혔다. "이 갓 태어난 별들은 사실 아직 자궁 안에 있는 미숙한 태아 정도로 보면 된다. 완전한 별이 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

별의 진화과정을 살펴보면, 분자구름으로 이루어진 가스가 중력의 작용으로 뭉쳐지기 시작하는 것이 바로 별의 잉태 순간이다. 이 가스 공이 물질들을 수천 년에 걸쳐 점점 많이 축적하면 그 중심부에는 온도와 압력이 동시에 올라가게 된다.

가스 공 중심의 온도가 1000만 도에 이르면 마침내 하나의 사건이 일어난다. 수소가 뭉쳐져 헬륨을 만드는, 이른바 수소 핵융합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에너지-질량 방정식, 곧 E=mc2 에 따라 수소 융합에서 결손된 질량이 핵에너지로 변환된다. 이때 가스 공은 비로소 반짝 하고 불이 켜져 별빛을 방출하는데, 이것이 바로 '스타 탄생'이다.

이처럼 별 하나가 탄생하는 데는 수천 년이란 긴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것은 우주적 시간 척도로 보면 사실 눈깜짝 하는 찰나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별들이 짧게는 수천만 년, 길게는 수백억 년을 살다가 별의 생애를 마친다. 태어난 지 50억 년쯤 되는 우리 태양은 앞으로 50억 년 후면 생을 마친다. 영원할 것 같은 별들도 우리 인간처럼 생로병사를 겪다가 이윽고 임종을 맞는 것이다. 비록 백년을 못 사는 인간에 비해 엄청 오래이기는 하지만...